[포워딩 실무] 28. 위험물 분류(국내/위험물안전관리법)

목차 국내에서는 수출과 다르게 위험물 분류를 하고 있습니다. 이는 위험물 보관 및 컨테이너 작업 등을 하게 되는 경우 취급이 가능한지 국내 기준에 따라 진행해야 합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 어떻게 분류가 되고 있는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. ** 위험물 등급(수출) ** 위험물 포장 1. 위험물 분류(국내/위험물안전관리법) 국내 위험물안전관리법상 위험물은 제1류에서 제6류로 분류하고 있으며, 각 류에 해당하는 허가가 없는 […]

[포워딩 실무] 28. 위험물 분류(국내/위험물안전관리법) Read More »

[포워딩 실무] 27. 위험물 포장 용기(UN 인증)

목차 이전 포스팅에서 위험물 등급에 관해 알아보았는데요, 이번 시간에는 위험물 포장 용기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. 앞서 말씀 드렸듯이 각 제품의 위험 정도에 따라 포장 등급이 달라지며, 이에 맞는 용기 선택 및 포장이 필요합니다. 또한, 이 용기는 유엔승인용기여야만 하며, 선적 시 위험물 용기 검사증도 함께 제출되어야 합니다. ** 위험물 등급 1. 위험물 포장 용기

[포워딩 실무] 27. 위험물 포장 용기(UN 인증) Read More »

[포워딩 실무] 26. 위험물 등급

목차 위험물 수출을 하는 경우 국제 표준에 따라 정확한 분류 및 포장 용기를 사용해야 합니다. 또한, 외부에서 어떤 화물인지 확인하고, 주의할 수 있도록 표찰을 부착해야 합니다. 규정을 지키지 않을 경우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유의해서 진행해야 하며, 이번 시간에는 위험물 등급에 대해서 먼저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. 1. 위험물 정의 및 운송, IMDG Code

[포워딩 실무] 26. 위험물 등급 Read More »

[포워딩 실무] 25. 미국 수출 ISF와 AMS란?

목차 미국으로 수출하기 위해서는 미 세관에 사전신고를 하게 되어 있으며, ISF와 AMS제도가 있습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 두 제도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1. AMS란? AMS는 Automated Manifest System의 약자로 미국 사전 적하목록 신고 제도라고 합니다. 이 제도는 9.11 테러 사건 이후 사전에 위험을 차단하고, 보안 및 통관 강화를 위해 시행하게 되었으며, 미국으로 들어오는 모든 화물에 대해

[포워딩 실무] 25. 미국 수출 ISF와 AMS란? Read More »

[포워딩 실무] 24. 미국 수출 부대비용 ( DDP & DAP )

목차 이번 포스팅에서는 미국 수출 부대비용 항목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. 파트너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을 수는 있지만 항목은 거의 비슷하다고 보셔도 될 것 같습니다. 1. 미국 수출 부대비용 DDP 조건으로 진행했을 경우 미국 현지에서 발생되는 항목이며, DAP 조건은 통관 관련 비용을 제외하시면 됩니다. ** DDP & DAP 조건이란? < Long Beach Port / 출처 :

[포워딩 실무] 24. 미국 수출 부대비용 ( DDP & DAP ) Read More »

[포워딩 실무] 23. 멕시코 DDP & IMMEX

목차 멕시코는 수입 통관 시스템 때문에 DDP 진행이 어려운 지역입니다. 또한, 자국 수출 제품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부품 및 원자재 등을 수입하는 경우 관세를 일정 기간 유예해주는 제도가 있습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두 가지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. 1. 멕시코 DDP 멕시코는 기업 및 개인의 세금 납부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입자의 모든 세금 납부

[포워딩 실무] 23. 멕시코 DDP & IMMEX Read More »

[포워딩 실무] 22. 미국 컨테이너 운송 중량 제한 & ELD

목차 미국도 우리나라처럼 운송 중량 제한이 있습니다. 미국은 우리나라보다 훨씬 더 넓은 영토와 많은 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준은 각 주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. 또한, 운송 기사들의 안전을 위해 운송 시간을 규정하고 있는 ELD 제도가 시행 중에 있습니다. 이번 포스팅을 통해 각 내용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. ** 국내 컨테이너 운송 제한 1. 미국 컨테이너

[포워딩 실무] 22. 미국 컨테이너 운송 중량 제한 & ELD Read More »

[포워딩 실무] 21. 포워딩 업무 강도 및 업무 이해하기

목차 이번 포스팅에서는 포워딩 업무 강도 및 각 업무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. 포워딩 회사에서 어떤 업무를 하는지 많은 분들이 궁금해 하시는 것 같아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. 설명 드리는 내용은 경험을 토대로 주관적으로 작성되는 점 먼저 참고해 주시면 좋겠습니다. 포워딩 회사를 운영함에 있어 정해진 룰은 없고, 회사마다 다소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대략적으로만 이해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.

[포워딩 실무] 21. 포워딩 업무 강도 및 업무 이해하기 Read More »

[포워딩 실무] 20. 컨테이너 운송 중량 제한 규정(과적기준)

목차 이전 포스팅에서 선박에 적재되는 화물 중량을 관리하는 VGM 제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VGM과 조금 다르지만 비슷한 맥락의 과적 예방 및 도로 보전을 위해 규정하고 있는 컨테이너 운송 중량 제한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. ** VGM이란? 1. 컨테이너 운송 중량 제한 규정 각 나라마다 규정하고 있는 운송 제한 중량은 다르기 때문에 컨테이너 작업 시

[포워딩 실무] 20. 컨테이너 운송 중량 제한 규정(과적기준) Read More »

[포워딩 실무] 19. VGM이란?

목차 모든 선박은 최대 적재할 수 있는 중량이 있으며, 이것을 관리하기 위해 시행되고 있는 제도라고 볼 수 있습니다. 과적으로 인해 선박이 가라앉는 사고가 발생하거나 운항에 문제가 될 수 있는 부분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제도이고, 정확한 정보를 선사에 제출해야 합니다.지난 포스팅에서 컨테이너 정보 보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이번 포스팅과도 연관이 있기 때문에 함께 보시면 좋을 것

[포워딩 실무] 19. VGM이란? Read More »

Scroll to Top